스타벅스 카페를 자동차로 이용 시 DT Pass를 이용하기 위해 차량정보와 결제정보를 등록하는 방법 및 패스를 이용하여 드라이브스루에서 자동 결제를 사용하는 법에 대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스타벅스 My DT Pass 패스 차량정보 등록 방법
핸드폰에서 스타벅스 앱의 알림 메시지를 보고 My DT Pass에 등록된 차량정보를 확인하셔도 되고 스타벅스 앱 하단의 Other 메뉴를 눌러 계정정보로 들어간 다음 My DT Pass 메뉴에서 추가로 등록하거나 이미 등록된 차량정보를 변경하셔도 됩니다.
스타벅스 앱에서 차량정보는 최대 2대까지 등록이 가능합니다. 먼저 차량을 등록하는 경우 먼저 약관 동의에 체크하신 후 차량번호를 입력하시면 되고 다음과 같이 고객님의 차량이 아니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차량 소유주 인증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습니다.
기존에 등록했던 차량번호가 중고차로 판매하여 현재의 차량이 변경된 경우는 삭제하기를 눌러서 제거하고 다시 등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스타벅스 DT 패스에 등록하려는 차량에 소유주 본인 인증이 성공한 경우 이어서 결제수단 등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먼저 차량을 등록하고 다음에 이어서 할 수도 있지만 바로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차량을 판매하여 소유주가 변경된 경우는 스타벅스 DT Pass에서도 바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차량 삭제 시 결제수단인 카드 정보도 같이 삭제되며 남아있는 두 번째 차량 정보가 있는 경우 첫 번째 차량으로 변경됩니다.
스타벅스 DT Pass 패스 자동 결제 이용 방법
스타벅스 모바일 앱에서 DT 패스를 사용하기 전에 차량정보와 결제수단을 완료한 상태라면 스타벅스의 드라이브 루 Drive-Thru 매장을 차량으로 주문하는 경우 앱에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자동 결제되는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의 DT 패스에 차량과 결제 수단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도 모바일 앱의 계정정보에서 My DT Pass 항목의 설정이 ON으로 되어있어야 패스 결제 서비스가 적용되기 때문에 OFF이신 분들은 사용 전에 ON으로 변경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스타벅스 DT Pass 차량정보 등록 및 패스 이용 방법 요약
저의 경우 스타벅스에서 먼저 당신의 차량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라는 알림을 보고 DT 패스에 등록된 차량정보를 변경했습니다만 스타벅스에서 어떤 방식으로 알려주는지 등록된 기간이 오래된 차량이나 실제 소유주 체크를 하는 건지 알 수는 없었습니다.
본인 차량을 판매하는 경우 그리고 새 차를 구입하는 경우 소유권이 넘어가거나 소유권이 넘어온 시점에 스타벅스 DT 패스의 차량 정보 등록도 드라이브 스루(Drive-Thru)를 이용하기 전에 미리 업데이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마지막으로 DT Pass 차량정보 등록 시 소유주 인증이 안 되는 경우 만약 심야 시간에 하신다면 시스템 작업중일 수 있으니 09시에서 18시 사이인 일과 시간에 다시 해보시기 바라며 그래도 문제가 있는 경우 본 글 마지막에 있는 자동차 365 홈페이지에 가입해서 차량등록을 하고 다시 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스타벅스 와이파이 및 딜리버리 관련 글 바로가기
[IT 인터넷 통신] - 스타벅스에서 무료 와이파이 인터넷 이용하기 (Starbucks KT GiGA free WiFi internet 사용법)
스타벅스에서 무료 와이파이 인터넷 이용하기 (Starbucks KT GiGA free WiFi internet 사용법)
스타벅스에서 인터넷 이용하기 다들 아시는 내용입니다만 그래도 스타벅스 매장을 찾을 때 잘 모르시는 분들이 종종 옆에서 고군분투하고 계시는데 나서서 알려드리기도 참 뭐하고 해서, 오늘
johblack.tistory.com
[카페] - 스타벅스 배달 딜리버리 딜리버스 사용 방법 (Starbucks' Delivers)
스타벅스 배달 딜리버리 딜리버스 사용 방법 (Starbucks' Delivers)
오늘은 아직 서비스 지역이 많지 않은 스타벅스 딜리버리 서비스인 딜리버스(Delivers)의 사용방법을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스타벅스의 사이렌 오더는 이제 누구나 사용하는 일반적인 서비스가
fiftylove.tistory.com
▶ 자동차 365 가입 및 차량등록 방법
[자동차] - 자동차365 홈페이지 가입 및 차량등록 방법 (차량정보 확인 포함)
자동차365 홈페이지 가입 및 차량등록 방법 (차량정보 확인 포함)
자동차 365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회원가입 후 차량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본인 차량을 등록 후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한 다양한 차량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해서도 확인
bincentdiary.tistory.com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임나라 이용 방법 (가입 > 공임 확인 > 예약) (0) | 2023.05.25 |
---|---|
자동차세 연납 신청 방법 (위택스 vs 이택스) (0) | 2023.01.30 |
자동차365 홈페이지 가입 및 차량등록 방법 (차량정보 확인 포함) (1) | 2022.12.28 |
캐롯 손해보험 퍼마일 자동차 보험 가입 방법 (월정산형 VS 연납후 정산형) (0) | 2022.07.01 |
KB손해보험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보험료 산정 방법 (KB 다이렉트) (0) | 2022.07.01 |
댓글